본문 바로가기

Job Nomad/직업상담

직업상담사 (직업상담학) 5강 | 직업심리검사 종류, 선택

한국직업방송에서 방송된 영상을 소개합니다.

직업심리검사

 

심리검사 선택 및 활용

  • 객관적 검사: 구조화되어 있고, 의미가 객관적으로 명료화, 동일한 방식의 해석, 선다형이나 '예/아니오' 등의 질문 다수. 한국판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(K-WAIS),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(MMPI), 마이어스-브릭스 성격유형검사(MBTI), 기질 및 성격검사(TCI), 16 성격요인 검사(16PF) 등이 해당 (답이 정형화되어 있다)
  • 투사적 검사: 비구조화 되어 있고, 검사 자극 내용을 불분명하게 하여 수검자의 내면이 외부에 자연스럽게 투사, 로샤 검사(Rorschach Test), 주제통감검사(TAT), 집-나무-사람 그림검사(HTP), 문장 완성검사(SCT), 문장 완성검사(ISB), 인물화 검사(Draw-A-Person) 등이 해당 (답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, 훈련을 받아야만 해석할 수 있다)

심리검사의 개발과정

  • 1단계(구성개념의 영역규정) - 2단계(문항표본 작성) - 3단계(사전검사 자료 수집) - 4단계(측정의 세련화) - 5단계(본 검사 자료수집) - 6단계(신뢰도와 타당도 평가) - 7단계(규준개발)
  • 문항 분석: 문항의 곤란도, 문항의 변별도

검사 해석 시 주의 사항

  • 전문가가 해석해야 한다.(직업상담사)
  • 검사 결과를 내담자에게 설명할 때 가능한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한다.
  • 해석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을 고려한다.
  • 내담자의 방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립적이고 무비판적인 자세를 취한다.
  • 검사 결과에 대해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자료를 활용하여 설명해 준다.
  • 검사결과에 대해 주관적 판단은 배제하고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다.
  • 내담자에게 진 점수의 범위를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. (원점수, 표준편차에 대한 설명)

 

주요 심리검사

 

성인지능검사

  • 지능의 개념: 가장 널리 사용, 1905년 비네와 시몽이 정신 지체아를 위해 개발, 대표적으로 웩슬리 지능검사, 스탠포드-비네 지능검사가 있다.
  •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: 카텔의 구분, 유동성=유전, 결정성=환경
  • 편차지능지수(IQ): 편차는 지능지수의 분포형태와 관련, 편차지능지수는 일반적으로 표준편차를 '15(웩슬리 지능검사)' 또는 '16(스탠포드-비네 지능검사)'으로 사용한다.
  • 한국판 웩슬리 성인지능검사의 구성: 언어성검사와 동작성검사의 2개 하위검사로 구성,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다. 편차지능지수로 평균 '100', 표준편자 '15'를 사용한다.

 

직업적성검사

  • 적성의 개념: 어떤 과제나 임무를 수행하는데 개인에게 요구되는 특수한 능력이나 잠재력을 의미, 지능과 구분되는 특수한 능력, 적성과 흥미가 같을 수 있다.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를 예측 
  • 일반직업적성검사(GATB): 미국에서 개발, 가장 널리 사용. 정답과 시간이 정해져 있다. 15개 하위검사(11개의 지필검사, 4개의 수행검사)를 통해 9개 분야 적성 측정, 검출되는 적성(9개 분야)은 지능/형태지각/사무지각/운동반응/공간적성/언어능력/수리능력/손의 재치/손가락 재치

 

흥미검사

  • 흥미의 개념: 어떤 종류의 활동 또는 사물에 대해 특별한 관심이나 주의를 가지게 하는 개인의 일반화된 행동경향. 특정 직업활동에 대한 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검사
  • 종류: 스트롱 캠벨 흥미검사, 쿠더 직업흥미검사, 자기방향탐색검사/ 직업선호도검사/ 경력의사결정검사
  • 직업선호도검사: 홀랜드(6각형 이론)의 흥미이론으로 개발 (매우 중요)
    • L형과 S형이 있다. (L형 가장 많이 사용)
    • 흥미검사, 성격검사, 생활사검사의 세가지로 구성
      - 흥미검사: 흥미를 6가지로 구분 (현실형, 탐구형, 예술형, 사회형, 진취형, 관습형)
      - 성격검사: Big Five이론으로 개발 (외향성, 호감성, 성실성, 정서적 불안정성, 경험에 대한 개방성)
      - 생활사검사: 개인의 과거 또는 현재 생활 경험을 측정 (대인관계지향, 독립심, 가족친화, 야망, 학업 성취, 예술성, 운동 선호, 종교성, 직무 만족으로 9가지 결과)
  • Strong 직업 흥미 검사: 일반 직업 분류(GOT) 6개의 홀랜드 이론으로 구성
    • 기본흥미척도(BIS): GOT의 하위척도이며, 25개의 세부 척도로 구성
    • 개인특성척도(PSS): 일상 생활과 일의 세계에 관련된 개인의 특성을 설명
  • 진로 성숙 검사
    • 진로발달도구(CDI): 슈퍼의 진로 발달 이론으로 제작된 도구. 진로성숙, 진로유형, 진로발달단계 및 직업적 자아개념 등에 관련. 8개의 하위 척도로 구성 
    • 진로성숙 검사도구(CMI):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표준화. 태도척도와 능력척도로 구성. 능력척도는 자기평가, 직업정보, 목표선정, 계획, 문제해결
  • 다면적 인성검사(MMPI)
    •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는 객관적인 성격검사로, 정신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을 측정하고 구별하기 위해 사용
    • 해석의 난이도와 직업상담과의 괴리로 직업상담 현장에서는 안쓰임
    • 구성요소(타당도 척도)는 ?/ L/ F/ K척도
  • MBTI 성격유형
    • 개념: 융의 분석심리학에 의한 심리유형론을 토대로 자기보고식의 강제선택 검사. 내담자가 선호하는 작업역할/ 기능/ 환경을 찾아내는 데 유용. 직업의 불만족을 찾을때 쓰기 좋음
    • 4가지 양극차원
      - 외향형(E)/ 내향형(I): 에너지의 방향 (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)
      - 감각형(S)/ 직관형(N): 인식기능 (지각적 또는 수집적 과정)
      - 사고형(T)/ 감정형(F): 판단기능 (정보의 사정 또는 판단과정)
      - 판단형(J)/ 인식형(P): 생활양식 또는 이행양식

정질적 연구

  • 특징: 면담 등을 통해서 행동과 심리를 파악하고 해석
  • 정질적 자료 수집 방법
    • 생애진로사정(중요): 질적 평가. 구조화된 면담법. 구조(진로사정, 전형적인 하루, 강점과 장애, 요약)
    • 직업카드분류법: 비표준화된 검사, 홀랜드 이론으로 만듦. 내담자의 선호를 찾음
    • 자기효능감측정: 어떤 과제나 직무를 특정 수준까지 해낼 수 있다는 개인의 판단에 대한 신념

도구를 잘 써야 전문가다.

경영컨설팅이나 개인상담이나 마찬가지다.

 

그런데, 검사의 대부분은 아쉽게도 미쿡에서 만들어진터라 한국인에게 얼마나 맞을지 잘 모르겠다.

왜냐하면, 직업과 직무를 분석해서 모델링할 때, 미쿡의 환경과 문화가 중요한 요인 factor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생각때문이다.

  

고용노동부 워크넷 직업심리검사(www.work.go.kr/consltJobCarpa/jobPsyExam/jobPsyExamIntro.do)를 직접 해봐야겠다.

 

※ 직업상담사 정보 교류 및 직업 관련 상담은 아래 댓글로 나눕니다.